11일 오후 제주 남방 공해 상. 노란 조끼를 입은 승조원이 손을 들어 올리자 항공 모함이 고막을 찢는 천둥소리를 내며 F/A-18 슈퍼 호넷 전투기를 비행갑판 밖으로 쏘아 올렸다. 시위를 떠난 화살처럼 달려나간 전투기는 허공에서 잠시 왼쪽으로 몸이 기우는 듯하더니 이내 자세를 바로잡고 큰 호를 그리며 하늘로 솟구쳤다. <br /> <br /> 불과 3초 만에 전투기가 떠나간 비행갑판은 '캐터펄트(catapult·사출장치)'가 만들어 낸 매캐한 연기와 수증기로 금세 뒤덮였다. 동시에 강한 열기와 몸이 휘청일 정도의 후폭풍이 멀찍이 떨어져 있던 취재진을 덮쳤다. 취재진이 비행갑판에 머물렀던 약 10분간 5대가 넘는 전투기들이 승조원의 수신호에 맞춰 순식간에 항모를 박차고 날아올랐다. <br /> <br /> 이날 한·미·일 해상훈련을 이끈 건 10만t급의 시어도어 루스벨트 함(CVN-71)이다. 영화 '탑건: 매버릭'의 하이라이트인 이·착함 장면의 촬영 장소로 유명한 항모다. <br /> <br /> 미군이 한·미·일 훈련이 진행되는 가운데 전략자산이자 '기함(旗艦·지휘함)'인 핵 항모를 언론에 공개한 건 이례적이다. 지난해 8월 캠프 데이비드 한·미·일 정상회의 합의에 따라 3국은 정례적으로 함께 해상 훈련에 나서고 있는데, 훈련 현장에 한국 취재진을 처음 초청했다. <br /> <br /> 특히 훈련 공개 시점이 눈길을 끈다. 미국은 10일 미·일 정상회담, 11일 미·일·필리핀 정상회의 등 역내 동맹들로 구성된 소다자 협의체들을 중심으로 한 ‘격자형 구조’로 사실상의 대중 포위망을 구성하려는 의도를 명확히 하고 있기 때문이다. 비슷한 시기 한반도 인근에서 한·미·일 군이 함께 훈련에 나선 건 한·미·일 안보 협력 역시 이런 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242161?cloc=dailymotion</a>